티스토리 뷰

정부는 기존에 이용이 번거로웠던 알뜰교통카드를 폐지하고 좀 더 효율적인 대중교통 이용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케이-패스를 도입한다고 합니다. 오늘은 5월부터 시행될 케이-패스(K-PASS)에 관해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케이패스
지하철풍경

 

 

K-PASS

케이-패스는 무엇일까요?

* 월 15회 이상 전국 17개 시·도(189개 시·군·구) 시내버스, 지하철 등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지출 금액의 일정 비율을 다음 달에 돌려받는 교통카드입니다.

* 일반인은 20%, 청년(만19세~34세)은 30%, 저소득층(기초생활보장법에 따른 수급자 ・ 차상위계층)은 53%까지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한 달에 대중교통비로 평균 7만원을 지출하는 사람이라면, 연간 17∼44만 원의 교통비를 절감할 수 있습니다.

* 환급은 현금, 마일리지, 카드공제 등 원하는 방식으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K-PASS 지출 금액 환급비율]

대상 환급 비율 기준 1500원
일반인 20% 300원
청년 (만19세~34세) 30% 450원
저소득층
(기초생활보장법에 따른 수급자 ・ 차상위계층)
53% 800원

 

케이-패스는 어떻게 이용할 수 있을까요?

* 기존 알뜰 교통카드 이용자는 별도의 카드 재발급 없이 기존 카드를 케이-패스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2월부터 알뜰교통카드 앱을 통해 회원 전환 절차를 안내할 예정입니다.

* 알뜰 교통카드가 없는 신규 이용자는 5월부터 공식 누리집(korea-pass.kr)이나 모바일 앱에서 카드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 11개 카드사(신한, 하나, 우리, 현대, 삼성, 비씨, 국민, 농협, 티머니, 이동의즐거움, 디지비유페이) 누리집을 통해 원하는 교통카드 상품을 골라 신청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케이-패스는 어떤 교통수단에 적용될까요?

* 일반 시내버스, 지하철 뿐만 아니라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A노선, 광역버스 등 고비용 교통수단에도 케이-패스 혜택을 제공합니다.

* 고비용 수단 이용 때 1회당 환급 상한액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지만, 사업 시행 전(5월 전)까지 결정하여 별도로 안내할 예정입니다.

 

서울, 경기, 인천 대중교통 할인 정책 비교

1. 기후동행카드 (서울시)

* 서울시 내 대중교통 무제한 이용 가능

* 따릉이 포함: 월 6.5만 원

* 따릉이 제외: 월 6.2만 원

* 이용 가능 교통수단: 서울시내 전철, 서울시 면허 시내·마을·심야버스, 따릉이, 리버버스

 

[서울시 대중교통 이용이 많은 분들은 기후 동행카드가 더 좋을 수 있습니다.]

 

서울 2024 기후 동행카드 대중교통 통합정기권 (특징 및 발급 구매 방법)

기후 동행카드는 서울특별시가 2024년 1월 27일부터 시범 운영하는 대중교통 통합정기권입니다. 1회 요금 충전으로 30일간 서울 시내 지하철과 버스, 따릉이를 무제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comensee316.tistory.com

 

 

2. The 경기패스 (경기도)

* K-패스 이용 시 월 60회 초과분까지 환급

* 만 35세~39세 경기도민도 청년층 기준으로 30% 환급 (청년나이 기준 확대)

 

3. 인천 I-패스 (인천시)

* K-패스 이용 시 월 60회 초과분까지 환급

* 만 65세 이상 인천시민은 30% 환급 (어르신 환급 혜택을 높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