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지인과의 대화를 통해 혹시 그녀가 가스라이팅을 당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이 들었습니다. 사실 의심만 한 상황이라 좀 더 자세히 알아보고 싶어서 이것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그런데 많은 부분에서 그녀의 상황과 너무나도 닮아 있었습니다. 어떻게 도와야 할까? 하는 고민이 앞서는데.. 여러분들에게도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1. 가스라이팅이란?
가스라이팅은 타인의 심리나 상황을 교묘하게 조작해 그 사람이 스스로 의심하게 만듦으로써 타인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하는 정신적 학대의 일종입니다.
2. 가스라이팅의 유래
가스라이팅의 이름은 1944년 미국에서 개봉한 영화 <가스등>에서 유래했는데 이 영화는 1938년 영국에서 개봉한 동명의 영화를 리메이크한 작품입니다.
줄거리
폴라(인그리드 버그먼)는 세계적인 오페라 가수인 고모 앨리스(마리 라이트)가 살해된 집에서 살게 됩니다. 폴라의 남편 그레고리(찰스 보이어)는 폴라를 사랑하지만, 앨리스의 유산을 차지하기 위해 그녀를 정신병원에 감금시키려는 계획을 세웁니다.
그레고리는 폴라를 혼란스럽게 만들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사용합니다. 그는 밤에 가스등을 끄고는 폴라가 봤던 것을 부정합니다. 그는 폴라가 잃어버린 물건을 숨겨두었다가 폴라가 찾지 못하면 폴라의 기억력이 나빠지고 있다고 말합니다. 그는 폴라가 겪는 환각을 그녀의 정신질환으로 몰아붙입니다.
폴라는 점점 자신이 미쳐가고 있다는 의심을 하게 됩니다. 그녀는 혼란스럽고 두려워하며, 결국 정신병원에 입원하게 됩니다. 그러나 정신병원에서 만난 폴라의 친구 헬렌(헬렌 헤이스)은 폴라의 이야기를 듣고 그녀가 가스라이팅을 당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헬렌은 폴라를 도와주기 위해 그레고리의 뒤를 밟습니다.
헬렌은 그레고리가 폴라를 혼란스럽게 만들기 위해 의도적으로 가스등을 끄고, 물건을 숨겨두고, 환각을 조장하고 있다는 것을 밝혀냅니다. 결국 그레고리의 범죄가 밝혀지고, 폴라는 정신병원에서 풀려납니다. 폴라는 그레고리와 이혼하고, 새로운 삶을 시작합니다.
영화의 의미
영화 <가스등>은 가스라이팅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영화는 가스라이팅의 심각한 피해를 보여주며, 가스라이팅으로부터 벗어나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영화에서 폴라는 가스라이팅으로 인해 자신의 감정과 기억을 믿지 못하게 됩니다. 그녀는 자신이 미쳐가는 것처럼 느끼며, 결국 정신병원에 입원하게 됩니다. 그러나 헬렌의 도움으로 폴라는 가스라이팅의 진실을 알게 됩니다. 그녀는 자신이 피해자라는 것을 깨닫고, 가스라이팅에서 벗어나기 위해 용기를 내게 됩니다.
영화 <가스등>은 가스라이팅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에게 희망을 주는 작품입니다. 영화는 가스라이팅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서는 스스로의 감정과 기억을 믿어야 하며, 믿을 수 있는 사람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3. 가스라이팅의 유형
가스라이팅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다음은 가스라이팅의 몇 가지 일반적인 유형입니다.
부정가해자는 피해자의 기억이나 경험을 부정합니다. 예를 들어, 피해자가 "나는 당신이 나에게 화를 냈다고 느꼈어요"라고 말하면, 가해자는 "그런 적 없어요. 당신이 잘못 생각한 거예요."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비난가해자는 피해자를 비난하고 책임을 전가합니다. 예를 들어, 피해자가 "당신은 항상 나를 무시해요"라고 말하면, 가해자는 "당신이 나를 먼저 무시했잖아요. 당신이 나를 화나게 만들었어요."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조작가해자는 피해자의 감정이나 행동을 조작합니다. 예를 들어, 피해자가 가해자에게서 벗어나려고 하면, 가해자는 피해자에게 자신이 떠날 수 없다는 식으로 협박하거나 애걸복걸할 수 있습니다.
분리가해자는 피해자를 가족, 친구, 또는 다른 지원 시스템으로부터 분리합니다. 예를 들어, 가해자는 피해자에게 "우리 가족은 당신을 좋아하지 않아요." 또는 "당신의 친구들은 당신을 걱정해요. 당신이 나와 함께 있으면 더 행복해질 거예요."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4. 가스라이팅의 영향
가스라이팅은 피해자에게 심각한 정신적, 감정적, 심지어 신체적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가스라이팅을 경험한 사람들은 다음과 같은 증상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 우울증 ◾️ 불안 ◾️ 낮은 자존감 ◾️ 현실감 상실 ◾️ 집착 ◾️ 폭력
5. 가스라이팅에 대처하는 방법
자신의 감정과 기억을 믿는 것
가스라이팅의 가장 큰 목적은 피해자가 자신의 감정과 기억을 믿지 못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따라서 가스라이팅을 대처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감정과 기억을 믿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가해자가 자신의 감정이나 기억을 부정하거나 왜곡하더라도, 그것이 사실이 아니라는 것을 믿어야 합니다. 자신의 감정과 기억을 기록해 두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믿을 수 있는 사람에게 도움을 청하는 것
가스라이팅은 혼자서 벗어나기 어려운 일입니다. 따라서 믿을 수 있는 사람에게 도움을 청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족, 친구, 상담사 등 믿을 수 있는 사람에게 가스라이팅을 당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리고 도움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가해자와의 관계를 끊는 것
가스라이팅의 근본적인 해결책은 가해자와의 관계를 끊는 것입니다. 가해자와의 관계를 끊는 것은 쉽지 않지만, 가스라이팅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서는 필요한 조치입니다. 가해자와의 관계를 끊기 전에 안전한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해자가 폭력을 행사할 가능성을 고려하여, 주변 사람들에게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준비를 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
가스라이팅으로 인해 심각한 정신적, 육체적 피해를 입었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전문가는 가스라이팅의 심각성을 이해하고, 피해자의 회복을 돕기 위한 방법을 제시해 줄 수 있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정신 건강 : 자기 돌봄
정신 건강은 감정, 심리 및 사회적 웰빙을 포함합니다. 이는 생각하고, 느끼고, 행동하며, 선택하며, 다른 사람과 관계를 형성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칩니다. 정신 건강은 정신 질환이 없다는 것
comensee316.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