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뉴스에 따르면, 최근 일본에서 치사율이 최대 30%에 달하는 '연쇄상구균 독성쇼크 증후군'(Streptococcus pyogenes Toxic Shock Syndrome)이라는 감염병이 급속히 확산되고 있습니다. 이는 한국인 관광객이 늘어나는 상황에서 더욱 주의해야 할 문제인데요, 오늘은 연쇄상구균 독성쇼크 증후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난해 일본에서 7월부터 12월까지 진단을 받은 50세 미만 환자 65명 중 21명이 사망했는데 올해 들어 1~2월 사이 총 378건의 확진 사례가 보고 되었으며, 47개 현 중 2개 현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감염이 확인되었다고 합니다.
더가디언의 원문기사: Mystery in Japan as dangerous streptococcal infections soar to record levels
STSS의 치사율은 최대 30%로 매우 높은데 전문가들은 코로나19 격리가 해제된 것과 STSS 확산 증가 사이에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보고 있지만 뭔가를 설명할 수 있는 단계가 아니라는 판단입니다.
1. 연쇄상구균 독성쇼크 증후군(STSS)이란?
인후 뒤쪽에 화농성 연쇄상구균(Streptococcus pyogenes) 세균이 일으키는 급성 질병으로 전염성이 높습니다. 피부, 인후, 폐, 혈액 등 다양한 부위를 감염시킬 수 있습니다.
2. 주요 증상
* 인후통: 화농성 인후염의 주요 증상입니다.
* 발열: 38°C 이상의 고열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두통: 심한 두통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구토 및 복통: 특히 어린이에게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 피부 발진: 딸기처럼 붉은 발진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림프절 비대: 목, 겨드랑이, 사타구니 등의 림프절이 붓고 통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3. 감염 방식
* 공기 매개 감염: 기침이나 재채기를 통해 나오는 비말을 들이마시면 감염될 수 있습니다.
* 직접 접촉: 감염된 사람의 피부나 점막과 직접 접촉하면 감염될 수 있습니다.
* 오염된 물건: 감염된 사람의 타액이나 콧물이 묻은 물건을 만진 후 손을 씻지 않으면 감염될 수 있습니다.
4. 예방을 위해 준수할 점
* 손을 자주 씻고 청결을 유지합니다.
*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는 입과 코를 가립니다.
* 피부 상처는 깨끗하게 소독하고 붕대로 덮습니다.
* 다른 사람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피합니다.
오늘은 일본에서 확산되고 있는 STSS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언론의 보도처럼 심각한 정도는 아닌 것 같으나 일본 여행을 계획하고 있다면 STSS에 대한 정보를 숙지하고 예방 조치를 철저히 취해야 하겠습니다. 보다 안전하고 즐거운 여행을 위해 개인위생에 신경 쓰시고 만약 이상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