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배우 이제훈씨가 허혈성 대장염으로 응급수술을 받아 제28회 부산국제영화제에 불참했다는 소식이 했다는 기사를 보았는데요, 오늘은 수술까지 받았어야 했던 허혈성 대장염이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1. 허혈성 대장염이란?
허혈성 대장염(Ulcerative Colitis, UC)은 염증성 장질환 중 하나로, 대장의 혈류 감소로 인해 대장 내막의 염증과 궤양(궤양성 대장염)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적인 소화기 질환입니다. 이 질환은 대부분 직장부터 직장하행 결장까지의 대장을 영향을 미치며, 가끔은 더 넓은 범위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습니다. 주로 고령에서 발생한다고 합니다.
2. 원인
원인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1) 혈관성 요인
허혈성 대장염의 가장 흔한 원인은 혈관성 요인입니다. 동맥경화, 혈관염, 미세혈관 경련 등이 혈류 감소를 유발하여 허혈성 대장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동맥경화
동맥경화는 동맥 벽에 콜레스테롤과 지방이 쌓여 혈관이 좁아지는 질환입니다. 동맥경화가 진행되면 대장으로 가는 혈류가 감소하여 허혈성 대장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혈관염
혈관염은 혈관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혈관염이 발생하면 혈관이 손상되어 혈류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 미세혈관 경련
미세혈관 경련은 미세혈관이 수축하는 현상입니다. 미세혈관 경련이 발생하면 대장으로 가는 혈류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2) 장관성 요인
변비가 심하여 배변 시 힘을 많이 주거나, 대장 내시경 검사를 받는 경우에도 허혈성 대장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변비
변비가 심하면 배변 시 힘을 많이 주게 됩니다. 힘을 많이 주면 대장 내 혈관이 압박을 받아 혈류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 대장 내시경 검사
대장 내시경 검사를 받으면 대장에 관을 삽입합니다. 관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대장 내 혈관이 손상되어 혈류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3) 기타 요인
탈수와 저혈압도 허혈성 대장염의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 탈수 : 탈수되면 대장으로 가는 혈액량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 저혈압 : 저혈압이 있으면 대장으로 가는 혈압이 낮아져 혈류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3. 증상
◾️ 허혈성 대장염의 주요 증상에는 갑작스러운 복통(왼쪽 배가 아픈 경우가 많음), 설사(포함하여 혈변), 체중 감소, 메스꺼움, 피로, 열이 나거나 고열 등이 포함됩니다. 증상의 심각성은 환자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발병과 재발을 반복할 수 있습니다.
4. 진단
◾️ 허혈성 대장염 진단은 신체 검사, 대장 조영 검사, 엑스레이 및 혈액 검사와 같은 여러 검사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대장 내의 염증 및 궤양을 확인하기 위해 대장 내시경 검사가 주로 사용됩니다.
5. 치료
허혈성 대장염의 치료는 원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1) 혈관성 요인
허혈성 대장염의 가장 흔한 원인은 혈관성 요인입니다. 따라서 혈관성 요인이 원인인 경우, 원인 질환의 치료가 필요합니다.
◾️ 동맥경화
동맥경화로 인해 허혈성 대장염이 발생한 경우, 혈관 확장제, 항염증제 등의 약물 치료를 통해 혈류를 개선하고 염증을 완화합니다.
◾️ 혈관염
혈관염으로 인해 허혈성 대장염이 발생한 경우, 면역 억제제 등의 약물 치료를 통해 염증을 완화합니다.
◾️ 미세혈관 경련
미세혈관 경련으로 인해 허혈성 대장염이 발생한 경우, 항경련제 등의 약물 치료를 통해 경련을 완화합니다.
2) 장관성 요인
변비가 심하여 배변 시 힘을 많이 주거나, 대장 내시경 검사를 받는 경우에도 허혈성 대장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장관성 요인이 원인인 경우, 변비 치료 또는 대장 내시경 검사 후 소독이 필요합니다.
◾️ 변비 : 변비가 심한 경우, 섬유질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고,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여 변비를 개선합니다.
◾️ 대장 내시경 검사 : 대장 내시경 검사 후에는 소독제를 사용하여 대장 내 염증을 예방합니다.
3) 기타 요인
탈수와 저혈압도 허혈성 대장염의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타 요인이 원인인 경우, 수액 요법과 항생제 요법을 통해 탈수와 감염을 치료합니다.
4) 일반적인 치료
허혈성 대장염의 치료에는 다음과 같은 일반적인 치료법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 진통제 : 복통과 같은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진통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항생제 : 염증이 심한 경우, 항생제를 사용하여 염증을 완화하고 감염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 수액 요법 : 탈수 증상이 있는 경우, 수액 요법을 통해 수분과 전해질을 보충합니다.
허혈성 대장염은 대부분 자연적으로 치유되지만, 일부에서는 대장 전체의 괴사로 인해 장 절제술이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증상이 심하거나 지속되는 경우, 즉시 병원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6. 예방
◾️ 건강한 식습관 유지 : 섬유질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고, 규칙적으로 운동을 합니다.
◾️ 변비 예방 : 물을 충분히 마시고, 규칙적으로 배변을 합니다.
◾️ 스트레스 관리 :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충분한 휴식을 취합니다.
오늘은 이제훈씨 덕에 허혈성 대장염에 알아보게 되었는데요, 솔직히 한 번도 들어보지 않은 병이라 오늘 새로운 병에 대해 배우는 시간이었습니다. 응급으로 수술한 이제훈 씨는 현재 회복 중이랍니다. 잘 치료되기를 바라는 여러분들의 마음에 저의 마음도 더해봅니다. 여러분도 건강한 하루 보내세요~
눈건강에 좋은 음식과 이유
오늘은 눈건강에 좋은 음식들과 그 이유들을 알아보겠습니다. 현대인들은 컴퓨터 앞에 앉아 있는 시간이 길어지고, 스마트폰을 통해 사회와 관계를 맺는 시간이 늘어나는 등 전자기기의 사용으
comensee316.tistory.com